미담타임스 김교환 기자 |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소속 최영진의원(국민의힘, 사하구1)은 지난 제330회 임시회회 3차 본회의에서 부산시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정책 강화를 촉구하는 5분자유발언을 했다.
최영진의원은 4차산업혁명 및 탄소중립 이행에 따른 산업의 변화로 인한 세계경제포럼(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분석 지표 등을 설명하고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과 정의로운 전환에 부산시가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더하여 부산광역시 교육청 또한 변화하는 산업구조에 주도가 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변화를 촉구했다.
상기보고서의 주목이 되는 몇가지를 언급하면 2023년까지 약9,200만개의 일자리가 소멸하고, 1,700만 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또 WEF는 다가오는 미래 일자리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창의성, 기술 활용 능력, 분석적 사고, 그리고 지속적인 자기주도 학습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세계경제포럼(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는 로봇과 자동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과 기계가 협력하는 형태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인하여 향후 5년동안 직업을 바꾸는 사람이 1억명을 넘고, 새로운 기술을 갖춘 인재의 수요는 약900만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이러한 급변화속에 부산광역시의 일자리정책의 한계와 아쉬움을 지적하면서 변화하는 시기에 선재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일자리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더하여 최의원은 부산시교육청에도 메크로트렌드 속에 교육패러다임의 전환도 촉구했다.
기존의 분석력이 강조됐다면 이제는 정말 창의력에 필요한 시대라고 더급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