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담타임스 정주환 기자 | 경기도민 가운데 ‘달달버스’ 첫 탑승자가 나왔다.
26일 양주시에 있는 경기북부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북부 누림센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난 도담학교의 학생들과 엄마들이었다. 도담학교는 지체, 지적, 자폐성 장애 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이다.
김동연 지사는 오늘 북부 누림센터를 찾아 정성원 작가, 도담학교 학생 및 엄마 10여 명과 만났다. 이번 누림센터 방문은 지난 2023년 개소식 후 2년 만의 재방문이었다.
김동연 지사는 인사말에서 “딱 2년 전 첫 개관했을 적에 왔었는데, 우리 장애인들을 위한 북부의 훌륭한 중심이 만들어져서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센터는 지하 1층·지상 4층, 연 면적 6,520㎡ 규모로 ▲경기도 장애인 생산품 전시장 ▲경기도 시각장애인복지관 ▲경기도 보조기기 북부센터 ▲경기북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경기북부 장애인가족지원센터 ▲경기북부 점자도서관 등이 다양하게 입주해 있다.
김 지사는 “제가 머리털 나고 그림 산 게 딱 두 점인데, 첫 번째는 황진호 작가 작품이고 두 번째는 이창옥 작가 작품”이라면서 “한 점은 발달장애인인 화가가, 다른 하나는 지적장애인 화가분이 그린 그림인데 모두 제 방(사무실)에 걸려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가 우리 장애인 모든 분들에게 얼마나 진심이고, 열과 성을 다해서 함께하려 하는지 그 마음을 알아주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지사는 “우리 경기도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서 가장 행복하고 또 차별받지 않고, 또 제발 집 안에만 있지 말고 바깥에 나오게끔 하려고 ‘장애인 기회소득’을 만들었다. 장애인, 비장애인이 어울려서 잘 사는 세상을 꼭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장애인 기회소득’은 중위소득 120% 이하 중증장애인(13~64세)을 대상으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건강 활동 인증(주 2회) 시 월 10만 원(연 12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2023년 5,836명, 2024년 1만 904명이 참여했고, 2025년 6월까지 누적 참여자가 2만 7,031명에 달합니다. 참여자의 만족도는 지난해 86.7%로 집계됐다.
기회소득 말고도 장애인에 대한 김 지사의 진심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있다.
2년 전인 2023년 5월30일, 경기도청 1층 로비에서는 ‘인공지능(AI) 창작단’의 작품 30점의 전시회가 열렸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발달장애인들에게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 활동 교육을 제공한 바 있다. 그 작품을 전시하는 행사였으니 주인공은 발달장애인들이었다. 그런데 행사의 ‘테이프커팅’ 순서에 정작 장애인들이 없었다.
김동연 지사가 즉석에서 발달장애인 학생들을 옆으로 불러 함께 테이프커팅을 하게 했다. 모두 흰 장갑을 끼고 가위로 테이프를 자르는 순서였다. 그런데 장애 학생에게는 장갑에 손가락을 넣는 일조차 쉽지 않았다. 김동연 지사가 직접 장갑을 끼워주려 했으나 학생은 힘겨워했고, 당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그러자 김동연 지사가 말했다. “제가 장갑을 벗겠습니다.”
김동연 지사와 학생은 맨손으로 함께 가위를 잡고 테이프를 잘랐다. 김동연 지사가 밝힌 ‘장애인, 비장애인이 어울려서 잘 사는 세상’이란 테이프 커팅 때 함께 장갑 벗을 수 있는 사회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 김동연 지사와 도담학교 학생 및 부모들은 정성원 작가의 밑그림(여우)을 함께 채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동연 지사와 학생, 엄마들의 손을 거쳐 무색의 여우가 주황, 노랑, 파랑, 하늘색을 가진 예쁜 여우로 완성됐다. 이 자리에서 엄마들이 “달달버스를 타보고 싶다”고 하자 김동연 지사가 흔쾌히 받아들여 도담학교 학생과 부모들이 도민 가운데 달달버스를 가장 먼저 타보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