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담타임스 김준완 기자 | 경상남도는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인 낙동강 칠서와 물금·매리 지점에 최근 장마가 종료됨과 동시에 폭염이 지속되면서 본격적인 조류 발생 정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를 저감하기 위해 비상대응 체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현재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은 조류경보 ‘경계’ 단계 발령 기준인 유해남조류 1만세포수를 1회 초과한 상황이며, 최근 장마 종료 후 지속되는 폭염 등의 영향으로 8월 18일 채수한 조류 검사 결과도 초과가 예상되어 ‘경계’ 단계가 발령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아울러, 8월 20일 도내 2개 보 구간(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및 주요 지류에 대한 도 자체 녹조 발생 육안 점검에서도 수면에 녹조 띠가 관찰되는 등 다수의 뭉친 녹조 알갱이가 발견됐다.
비상대응의 주요 내용은 ▵낙동강 녹조제거선 집중 배치 및 적기 운영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통한 신속한 녹조 저감 ▵녹조 원인물질 총인(T-P) 배출 총력 저감 ▵녹조 발생으로부터 먹는물 안전성 감시 강화 등이다.
먼저, 낙동강의 도 관할 취수구 주변 등의 녹조 제거를 위해 지난 7월 말 배치 완료된 대형 녹조제거선을 신속하게 운영하여 녹조 확산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며, 도내에는 합천창녕보 1대, 칠서취수장 2대, 창녕함안보 2대, 물금·매리 2대를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영한다.
또한, 지난해 낙동강 주요 지점에 녹조 발생이 심각해짐에 따라 댐과 보의 방류량을 늘려 낙동강에 발생한 조류 세포수를 신속히 감소하기 위해 비상 방류 조치를 낙동강홍수통제소 등에 요청한 바 있다.
올해의 경우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위한 조류발생 대응 절차가 6일에서 3일로 단축되어 신속한 연계 운영을 통한 녹조 저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녹조 발생에 주요 요인인 총인 배출 저감을 위해서 경상남도 녹조 대응 행동 요령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경계’ 단계 수준으로 확대 추진한다.
총인을 하천으로 직접 다량 배출하는 공장과 대형 가축분뇨배출업소(재활용신고사업장 포함) 및 개인하수처리시설 267개소에 대해 규모별로 최대 매주 1회 집중 반복 점검을 실시한다.
또한, 하수처리장 방류수는 시설설치 상황 등 실정에 따라 총인(T-P) 방류농도를 법적기준보다 최대 80% 강화한 기준을 토대로 운영하는 비상저감 조치를 시행하고, 환경부에서는 감축에 필요한 약품비 등 경비를 지원한다.
아울러, 녹조로부터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서 낙동강 본류를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을 철저히 하고, 조류독소와 냄새물질에 대한 검사주기도 법적기준 보다 1회/주 이상 강화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정수처리된 수돗물에서는 조류독소가 검출된 사례는 없다.
구승효 경남도 수질관리과장은 “조류경보 해제 시까지 도민들에게 녹조로부터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안심할 수 있는 물환경을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