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담타임스 김교환 기자 | 경상남도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대형 산불로 인한 사면붕괴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사면 안전관리·산불 2차 피해 대응체계를 선제 정비하고 있다.
도는 18일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 회의’에 참석해, 24개 중앙부처, 17개 시도, 한국도로공사, 국립공원공단 등 총 40여 개 유관기관과 함께 산사태·사면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하고, 여름철 풍수해 대비 사항을 점검했다.
회의에서는 △산사태 방지대책 △사면 안전관리 추진계획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 방지대책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유관기관 간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공동 대응체계 구축 필요성도 강조됐다.
도는 그동안 여름철 풍수해에 대비해 재해취약지역과 주요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왔다.
해빙기 기간에는 도시개발사업장 47곳, 건축공사현장 142곳, 공공 건설현장 134곳, 도로비탈면 급경사지 965곳, 산사태 취약지역(1·2등급) 1,256곳 등 총 2,500여 곳의 점검을 마무리했다.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고 중대한 위험 요인은 우기 전까지 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다가오는 우기를 대비해 도시재생사업장 16곳, 건축공사현장 87곳, 공동주택 현장 34곳, 산업단지 208곳, 급경사지 965곳, 국가유산 42곳, 축산재해 취약농가 131곳 등비 안전점검을 추진할 방침이다.
최근 대형 산불로 훼손된 산림지역의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사태우려가 있는 730곳의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라 해당 구역을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존 산사태취약지역 2,514곳을 대상으로 민관 합동 전수점검을 시행해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굴하고, 우기 전까지 사면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산사태와 사면붕괴는 인명피해로 직결되는 만큼, 평상시 선제적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재난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현장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